AI

OpenAI의 반격의 시작(?) - Deep Research

H.Hoper 2025. 2. 3. 15:46

OpenAI가 현지시간 2월2일자로 복잡한 다단계 연구 작업을 자동화하고 신속하게 고품질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AI 에이전트를 공개했습니다. 최근 DeepSeek으로 인해 미국의 AI업계들이 여러 난항(?)을 겪고 있는데, 어쩌면 이에 대한 반격의 시작으로 볼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왜냐면 이름이 공교롭게도 Deep을 같이 써서 더 그런 느낌적인 느낌(?) 이네요..^^

 

🍎 딥리서치(Deep Researchh)

  • 2025년 2월2일 OpenAI가 공개
  • 개념: 필요한 데이터를 찾기 위해 여러 단계의 궤적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필요한 경우 실시간 정보를 역추적하고 반응”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작동하는 AI 에이전트
  • https://openai.com/index/introducing-deep-research/

🎀 주요 특징

  • 멀티스텝 연구 프로세스
    • 단일 검색에서 추가 질의를 생성해 정보를 재귀적으로 탐색
    • 인간이 수 시간~수일 걸리는 작업을 5~30분 내 완료
    • 예) 시장 동향 분석이나 과학 논문 검토 처리
  • 데이터 처리 능력
    • 텍스트, 이미지, PDF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분석
    • 사용자 업로드 파일과 웹 데이터를 통합해 종합적 보고서 생성
    • 웹 크롤링 최적화되어 수백 개 온라인 소스 동시 분석
  • 투명성과 신뢰성
    • 작업 과정 실시간 공개(사고 과정 및 출처 명시)
    • 모든 결론에 참고 자료 표기
  • 성능 벤치마크
    • 'Humanity’s Last Exam' 26.6% 정확도 기록
    • GPT-4o는 약 3.3%, Claude 3.5 Sonnet는 4.3%, OpenAI o1은 9.1%
  • ChatGPT서비스와 통합
    • OpenAI의 차세대 모델인 o3의 웹 브라우징 및 데이터 분석에 최적화된 버전
    • 사용자 프롬프트를 ChatGPT를 통해 처리하여, 자연스러운 언어 이해와 생성 능력을 활용하여 다양한 온라인 소스를 탐색하고 분석하여 종합적인 보고서 생성
  • 접근 방식
    • ChatGPT 웹 버전에서만 사용 가능
      • ChatGPT의 메시지 입력창에서 Deep research 모드 선택 > 질문 + 참고 자료 업로드 > Deep Research 세부 보고서 작성
    • ChatGPT Pro 전용: 월 100회 쿼리 제한

⚠️ 한계

  • 루머와 신뢰도 높은 출처 구분 모호
  • 허위 정보 생성(hallucination) 가능성
  • 높은 컴퓨팅 자원 요구로 초기 사용 제한(월 100회 쿼리)
  • 일부 지역(유럽 등) 서비스 미제공

🥯 향후 전망

  • 모바일·데스크톱 앱 탑재 예정
  • 데이터 소스 확장 및 시각화 기능 강화(차트/인포그래픽 자동 생성)
  • 구독 기반 리소스 및 기업 내부 데이터 통합, 전문DB 연결 등
  • Deep research를 Operator와 결합하면 오프라인/온라인 실제 작업까지 자동화하는 고도화된 에이전트 구현
  • 기업 고객 대상 서비스 확대 및 B2B 시장 공략

🛠️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