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LM 3

[SDS] AI 에이전트가 바꾸는 이커머스 생태계

현재 핫이슈이고, 내년에 본격화 될 AI 에이전트에 대한 개념과 이커머스의 유즈케이스, 관련 구조와 프레임워크를 상세하게 설명해주는 글이 있어 공유해봅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해주세요~ ^^ [ AI 에이전트를 통한 개선 ]AI 에이전트사람의 개입 없이 자율적으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지능형 시스템사용자로부터 구체적인 명령이나 목표를 설정받으면,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분석AI 에이전트를 통한 개선 방향언어 상호작용과 의사 결정 기능: 자연어 피드백을 기반으로 LLM 기반의 에이전트가 리플렉션 프레임워크를 통해 언어 생성뿐만 아니라 추론에서도 더 나은 성능을 보여주어 복잡하거나 모호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고 올바른 의사 결정 가능유연..

AI 2024.12.18

[나는리뷰어다]GPT-4를 활용한 인공지능 앱 개발

프롤로그 작년에 국내의 K대학원을 다니면서 6개월간 나름 LLM을 포함한 체계적인 공부를 하기도 했었다. 그리고, GPT4.0의 유료버전을 업무상 종종 사용하곤 한다. 그러나, 현업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아서인지 개념이 모호해 가던 시점이었다. 그리고, 시중에서 챗GPT라는 제목의 몇몇 책을 보았으나, 대부분 개론과 인문학적 서적에 가까웠었다. 그러던 중, 우연치않게 좋은 기회에 한빛미디어에서 이번에 내놓은 'GPT-4를 활용한 인공지능 앱 개발' 부제는 오픈AI API와 최신 GPT 모델로 창의적 앱 구축하기라는 책을 보게 되었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LLM에 대한 개념과 이론, 오픈AI의 GPT버전별 차이점,GPT의 고급기능, GPT의 API를 이용하거나 Langchain을 이용한 구현을 원하는 초급..

AI 2024.02.25

GenAI, LLM은 무엇이며,사용 사례는,실제로 도움이 되는가?

생성형 AI(Gen AI)는 사용자가 입력한 프롬프트에 따라 텍스트, 이미지, 코드 또는 기타 유형의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머신러닝 시스템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인공지능 기술 유형 중 하나입니다. 효과적인 콘텐츠 생성을 위해서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술이 매우 중요합니다. 요즘에는 사용자가 질문이나 지침으로 입력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AI 모델이 인간과 유사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는 생성형 AI 모델이 애플리케이션, 도구, 챗봇에 통합되고 있습니다. LLM(대규모 언어 모델)은 자연어 처리(NLP)를 사용하여 인간과 유사한 텍스트 기반 콘텐츠를 이해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하는 특수한 종류의 AI 모델입니다. 이러한 대규모 모델은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한 다음 일관되고 문맥에..

AI 2024.02.04